해외에서 KC인증을 받을 수 있을까?
해외에서 우리나라에 수출하기 위해 KC인증을 받으려면 해당 국가와 우리나라가 상호인정협정(MRA)을 맺어야 합니다. 상호인정협정이란? 상호인정협정이란 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의 약자로써 회원국들간에 시험성적서와 인증서를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인증 제도는 수출자, 수입자에게는 고비용 절차입니다. 이는 최종 사용자의 비용 증가를 야기하고 제품 유통 시기를 지연시킵니다. 단순화 된 절차를 통해 이 비용을 낮추면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갑니다. 동시에 규제하는 정부는 테스트 품질에…
KC인증 파생모델 추가할 때 변경이 허용되는 범위
파생모델 추가 관련, 전기안전과 전자파에서 각각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르게 규정합니다. 전기안전은 기본적으로 1차측 전원 사용부품들은 변경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변경 시, 새로 인증을 받게 됩니다. 전자파는 회로, 부품의 추가, 구성품의 대치 등의 변경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1. 전기안전 파생모델을 추가할 때 기본모델의 사양에서 변경되면 안되는 부품들입니다. 구분 범위 세부범위 1. 전기적인 1차 회로와 2차회로 사이에 사용되는…
KC 전기안전 공급자적합성 대상 품목
전기용품 안전인증은 대부분 교류전원 220V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대상입니다. 하지만 교류 30V 이하, 직류전원 42V 이하에서 사용하는 사용하는 제품들 중에서도 인증 대상품목인 것들이 있습니다. 해당 품목들을 아래의 표로 정리합니다. (Ctrl+F 찾기 기능을 사용 권장) [기준: 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8-193호, 2018. 6. 29., 일부개정] 구분 분류 품목 세부품목 안전인증 7. 전기기기 가. 전기청소기 ① 진공청소기 ② 물흡입청소기 ③ 전기바닥청소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 2018-193 호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과 같은 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을 아래와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18년 6월 29일 국가기술표준원장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개정 이유 위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일부 생활용품을 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으로 안전관리하고, 인터넷을 활용한 구매대행, 제품…
KC인증 없이 구매대행이 가능한 품목
전안법 개정에 따라서 많은 품목들이 KC인증 없이 구매대행이 가능해졌습니다. “구매대행”이란 개인 사용목적으로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해외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하여 주문, 대금지급 등의 절차를 대행하여 해당 제품을 해외 판매자가 국내 소비자에게 직접 발송하도록 하는 방식의 용역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병행수입”이란 해외상표권자에 의해 생산ㆍ유통되는 제품(상표가 외국에서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에 의하여 부착ㆍ배포된 상품에 한정한다)을…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가이드북 배포 (2018.05.31)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작년 12월 개정된 전안법(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이 ‘18년 7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새로운 제도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안법 가이드북을 발간하였습니다. 가이드북의 첫 번째 파트는 제조ㆍ수입업자, 구매대행업자, 병행수입업자 등 관련 업계별로 개정 전안법 시행에 따라 지켜야할 사항을 안내하고 있으며, 두 번째 파트는 그간 국표원이 개최한 20 여회의 전안법 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이 궁금해 했던 내용을…
전기안전인증 변경인증 (변경신고)
전기안전인증, 전기안전확인, 공급자적합성확인을 받은 제품의 변경이 있을 때는 변경신고를 해야만 합니다. 관련 법령인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 5조에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5조(안전인증 등) ① 안전인증대상제품의 제조업자(외국에서 제조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출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또는 수입업자는 안전인증대상제품에 대하여 모델(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고유한 명칭을 붙인 제품의 형식을 말한다. 이하 같다)별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인증기관의…
소용량 리튬 배터리(에너지 밀도 400Wh/L 미만) 관련
보 도 설 명 자 료 (’16.4.14) 수신 : 산업통상자원부 등록기자 손톱만 한 리튬배터리도 화재위험? 과잉규제 논란(’16.4.14. 연합뉴스) 1. 기사내용 □ 정부는 소용량 리튬 배터리(에너지 밀도 400Wh/L 미만)에 대해 안전규제를 도입하여 블루투스 업계의 인증비용 부담이 발생 * 그간 에너지 밀도 400Wh/L 이상만 안전관리를 하고 있었으나, 일본만 적용하는 에너지 밀도 400Wh/L 기준을 삭제하고 배터리 용량에…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일부 개정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일부 개정 1.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소관 부처의 명칭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항구적 식별표시 사용, 적합성평가 표시시점의 명확화, 제품 포장에 적합성평가 표시의무 부담 완화, 소형제품의 크기를 명확화, 중복인증 해소를 위해 국민안전처의 소방용품을 적합성평가 대상기자재 편입, 전자파 위해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LED랜턴 등 일부 제품을 적합성평가대상에서 제외 하는…
KC, KS 인증번호 조회하는 방법
전기용품 안전인증 전기제품, 어린이제품의 KC 인증번호를 확인하는 곳은 Safety Korea라는 곳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http://www.safetykorea.kr/release/certificationsearch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 (전자파 인증) IT기기 등 전자파 인증의 KC 인증번호를 조회하는 곳은 국립전파연구원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http://rra.go.kr/ko/license/A_c_search.do KS 인증번호 KS 인증번호를 조회하는 곳은 한국표준협회입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조회 가능합니다.http://www.ksa.or.kr/ksa_kr/869/sub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