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2019-02-08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 2019-018 호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과 같은 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을 아래와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19년 2월 8일국가기술표준원장 1. 개정 이유 전기용품 안전관리 수준 조정에 따른 세부 기준 마련 및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에 단전지 및 조명기기 세부 품목을 신설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2018-12-31
1. 개정 이유 안전관리 수준 조정에 따른 세부 기준 마련하고, 병행수입 면제 제품에 대한 별도 인증번호 부여 및 안전기준 마련 시 전문위원회 검토를 의무화하여 안전관리제도의 미비점 등을 보완하고자 함. 2. 주요 내용 가. 안전관리 수준 조정에 따른 세부 기준 마련 ㅇ 안전관리대상 하향 조정 (6개 품목) 품목의 세부 기준 마련(별표 1 ~ 별표 3, 별표…
전동칫솔 KC인증
1. 제품 개요 전동칫솔은 보통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여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제품 사양에 따라서 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2. 취득해야 하는 KC인증 종류 제품에 대해서는 전자파 인증(방송통신기자재 적합등록)을 취득해야만 합니다. 내부에 사용되는 배터리도 KC인증품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3. 진행 절차 신청 > 제품시험 > 시험 합격 > 인증서 발급 4. 준비 사항 한글 사용설명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아두이노 KC인증
1. 제품 개요 아두이노(이탈리아어: Arduino 아르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상품)와 관련 개발 도구 및 환경을 말합니다. 2005년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lvera)에서 하드웨어에 익숙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고 고안되었습니다.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스마트밴드 KC인증
1. 제품 개요 스마트 밴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심장박동 수 측정, 피트니스 등 기능을 제공합니다. 2. KC인증 종류 제품은 전자파 인증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인증) 대상품목입니다. 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리튬이온배터리인 경우, 배터리도 KC인증을 취득하셔야 합니다. 3. 진행 절차 신청 > 제품시험 > 시험 합격 > 인증서 발급 4. 준비사항 회로도 부품배치도 안테나 사양서 한글 사용설명서…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일부 개정 (2018.07.31)
1. 개정이유 방송통신기자재 등 수입기자재의 시험․인증에 소요되는 비용부담, 시간적․절차적 문제 등에 대한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일 수입기자재 등의 시험ㆍ인증 절차 간소화 등 적합성평가 제도를 개선하기 위함 2. 주요내용 가. 동일기자재에 대한 정의 규정 신설(제2조) ㅇ 동일기자재에 대한 시험절차를 생략하도록 하는 규정(신설)에 따라 동일기자재의 정의를 신설하고 그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 함 나. 적합성평가 대상기자재 분류위원회…
해외에서 KC인증을 받을 수 있을까?
해외에서 우리나라에 수출하기 위해 KC인증을 받으려면 해당 국가와 우리나라가 상호인정협정(MRA)을 맺어야 합니다. 상호인정협정이란? 상호인정협정이란 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의 약자로써 회원국들간에 시험성적서와 인증서를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인증 제도는 수출자, 수입자에게는 고비용 절차입니다. 이는 최종 사용자의 비용 증가를 야기하고 제품 유통 시기를 지연시킵니다. 단순화 된 절차를 통해 이 비용을 낮추면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갑니다. 동시에 규제하는 정부는 테스트 품질에…
KC인증 파생모델 추가할 때 변경이 허용되는 범위
파생모델 추가 관련, 전기안전과 전자파에서 각각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르게 규정합니다. 전기안전은 기본적으로 1차측 전원 사용부품들은 변경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변경 시, 새로 인증을 받게 됩니다. 전자파는 회로, 부품의 추가, 구성품의 대치 등의 변경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1. 전기안전 파생모델을 추가할 때 기본모델의 사양에서 변경되면 안되는 부품들입니다. 구분 범위 세부범위 1. 전기적인 1차 회로와 2차회로 사이에 사용되는…
KC 전기안전 공급자적합성 대상 품목
전기용품 안전인증은 대부분 교류전원 220V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대상입니다. 하지만 교류 30V 이하, 직류전원 42V 이하에서 사용하는 사용하는 제품들 중에서도 인증 대상품목인 것들이 있습니다. 해당 품목들을 아래의 표로 정리합니다. (Ctrl+F 찾기 기능을 사용 권장) [기준: 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18-193호, 2018. 6. 29., 일부개정] 구분 분류 품목 세부품목 안전인증 7. 전기기기 가. 전기청소기 ① 진공청소기 ② 물흡입청소기 ③ 전기바닥청소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 2018-193 호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과 같은 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을 아래와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18년 6월 29일 국가기술표준원장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 개정 고시 개정 이유 위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일부 생활용품을 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으로 안전관리하고, 인터넷을 활용한 구매대행, 제품…